달걀 한판 7천원 시대 급등 뒤 복합적 원인 분석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달걀 한판 7천원 시대 급등 뒤 복합적 원인 분석

by 경제야 놀자! 2025. 8. 19.
반응형

 

 

 

매일 아침 쉽고 간편하게 달걀 2알을 몸의 단백질을 공급 하기 위해 달걀을 드시지 않으시나요.

서민 단백질의 대명사였던 달걀이 이제 '금달걀'이라 불리며,

대형마트에서는 할인 판매 시 '오픈런'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2025년 8월 현재 달걀 한 판(특란 30구) 가격이 7,213원을 기록하며

2021년 7월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를 돌파했습니다.

작년 동월 대비 8%, 평년 대비 10% 상승한 수준으로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급격한 가격 상승 뒤에는 단순한 공급 부족을 넘어선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들이 얽혀있습니다.

금달걀이 되어가는 달걀 가격값 급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달걀 급등 직접적 원인

 

달걀 가격 상승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조류인플루엔자(AI)와 각종 질병으로 인한 산란계 폐사입니다.

올해 초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전염성 기관지염(IB), 가금티푸스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서 산란계 마릿수가 급감했습니다.

2021년 AI 대유행 당시 1,670만 마리가 살처분됐던 것에 비해 올해는 490만 마리 수준이었지만,

가격 상승폭은 오히려 더 컸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여기에 올여름 극심한 폭염과 폭우가 추가 타격을 가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날씨는 닭들의 폐사율을 높이고 산란율을 떨어뜨려 공급 부족을 심화시켰습니다.

산란계 고령화 문제도 생산성 저하의 한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정부 규제의 이중적 효과

동물복지 강화를 위한 사육밀도 규제도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정부가 산란계 케이지 면적 기준을 마리당 0.05㎡에서 0.075㎡로 확대하면서,

같은 공간에서 기를 수 있는 닭의 수가 줄어들었습니다.

장기적으로 동물복지 향상에 기여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공급량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새로운 사육환경 기준 적용을 앞두고 농가들이 기존 산란계를 조기 교체하는 과정에서도

일시적 공급 공백이 발생했습니다.

농가들은 오는 9월까지 새 기준을 충족해야 했으나,

수급 충격 최소화를 위해 2027년 9월로 2년 유예됐습니다.

 

달걀 생산비 상승과 수요 증가의 동시 압박

 

사료값 급등과 인건비, 자재비 상승 등 생산비 증가도 가격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산란계 농가의 운영비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달걀 생산원가가 높아진 것입니다.

동시에 달걀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1인당 일평균 계란 소비량이 2021년 0.82개에서 2024년 0.95개로 꾸준히 늘었습니다.

소·돼지 등 축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달걀을 단백질 섭취 수단으로 찾는 소비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달걀 가격 담합 의혹과 유통 구조의 문제

 

정부는 현재의 가격 상승이 공급 부족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대한산란계협회의 가격 담합 의혹을 조사하기 위해 전격적인 현장조사에 나섰습니다.

협회가 고시한 달걀 산지 가격이 2월 개당 146원에서 5월 190원으로 30% 넘게 올랐는데,

명확한 인상 요인 없이 이런 급등을 보인 것이 의심스럽다는 것입니다.

유통 과정에서의 과도한 마진 문제도 제기됩니다.

상승한 가격의 상당 부분이 유통업체들이 마진을 과도하게 붙여서 발생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달걀의 경우 소·돼지와 달리 공식적인 경매가격이 없어 가격 투명성이 떨어진다는 구조적 문제도 지적됩니다.

 

계란 글로벌 요인과 수출 영향

 

미국의 계란 수입 확대 요청도 국내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미국이 AI 확산으로 달걀 부족 사태를 겪으면서 한국에 월 최대 1억 개 분량의 달걀 수출을 요청했습니다.

비록 실제 수출량은 미미한 수준이지만, 수출 가능성만으로도 국내 가격 상승 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한줄 요약

달걀 한판 7천원 돌파는 AI 등 질병, 폭염, 사육밀도 규제, 생산비 상승, 수요 증가,

유통구조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경제야놀자의 다른 글

 

 

방한 빌 게이츠, ‘유 퀴즈’에서 들려줄 이야기

빌 게이츠는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업자로 디지털 혁명을 이끌었고,현재는 게이츠 재단을 통해 글로벌 보건, 교육, 기후 변화, 빈곤 퇴치 등 인류 과제에 헌신하는 자선가입니다.이번 방한은 20

eworldrich.com

 

 

경력 단절 주부의 노후 준비, 국민연금 활용법

경력단절을 겪는 주부들은 노후 준비에서 특히 국민연금 수령액이 줄어들까 걱정이 큽니다.일시적으로 경제활동을 중단해 납부 이력이 끊기면 연금액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제

eworldrich.com

 

 

업비트 기술력 베트남 수출...밀리터리뱅크와 거래소 설립 협력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베트남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습니다.두나무는 베트남 4대 은행인 밀리터리뱅크와 기술 제휴 양해각서를 체결하며베트남 가상자산 시장 개척에

eworldrich.com

 

 

임신 로봇 시대 개막? 중국 1년내 출시 선언 전세계 충격

중국의 로봇 업체가 세계 최초로 임신부터 출산까지 전 과정을 담당하는 '대리 임신 로봇'을1년 안에 상용화하겠다고 발표해 전세계가 충격에 빠졌습니다.선전에 본사를 둔 카이바 로보틱스의

eworldrich.com

 

 

스테이킹 vs 리퀴드 스테이킹, SEC 규제 완화가 바꾼 기관투자 패러다임

미국 SEC(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2025년 8월 5일 리퀴드 스테이킹이 증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공식 발표하면서암호화폐 업계에 혁명적 변화가 일고 있습니다.이는 지난 5월 29일 프로토콜 스

eworldrich.com

 

 

 

반응형